본문 바로가기

보안/Kali Linux

[Kali Linux] 칼리 리눅스 - Window Hyper-V에 칼리 리눅스 설치하기

Hyper-V에 칼리 리눅스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한 포스트입니다.

 

Hyper-V 란?

Hyper-V는 Windows 운영체제에서 여러 운영체제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의 가상화 소프트웨어이다. 가상화 소프트웨어로 인지도가 높은 VMware Workstation 이나 오라클의 VirtualBox 와 비슷한 기능을 한다고 볼 수 있다. Hyper-V는 Windows 홈 버전을 제외한 거의 모든 Windows 버전에서 무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Kali Linux 이미지 파일 다운로드

다운로드 주소 : https://www.kali.org/get-kali/#kali-installer-images

 

Get Kali | Kali Linux

Home of Kali Linux, an Advanced Penetration Testing Linux distribution used for Penetration Testing, Ethical Hacking and network security assessments.

www.kali.org

 

먼저 위의 공식 다운로드 페이지 링크 주소로 접속하여, ISO 이미지 파일을 다운로드 한다. 

현재 설치 시점에서 최신 파일은 2023.1 버전이다.

 

현재 작성시점 기준으로 2023.1 버전 ISO 이미지로 hyper-v에 칼리 리눅스 설치 시, 시스템 부팅 시 검은 배경화면에 하얀 커서만 깜빡거리는 이슈가 있다. 구글링 해보니 해당 이슈에 대한 여러가지 해결책이 나와있는데, 수회에 걸쳐 여러가지 방법으로 재설치하여 보았으나, 제대로 구동이 되지 않았다. 혹시나 하여 2022.1 버전으로 설치하여 보니 한번에 설치 후 정상 부팅이 된다. Hyper-V에 최신형 칼리 리눅스의 설치를 권장하지 않는다.

 

이전 버전 칼리 리눅스의 ISO 이미지 파일은 아래 링크 주소로 접속하여, 다운로드 한다.

다운로드 주소 : https://old.kali.org/kali-images/

 

Index of /kali-images/

 

old.kali.org

 

 

 

Hyper-V에 Kali Linux 설치하기

1. 먼저, 위와 같이 Hyper-V 관리자를 실행한다. 오른편 작업 메뉴에 '새로만들기 > 가상컴퓨터' 를 선택한다.

 

 

2. 새 가상 컴퓨터 마법사가 창이 나오면, 다음을 클릭한다.

 

3. 이름 및 위치 지정 탭에서, 가상 머신에 대한 이름을 설정하여 주고 가상 머신 파일의 저장 위치를 별도로 설정하고 싶은 경우 적당한 위치를 지정한다.

 

4. 세대 지정 탭에서는 1세대를 선택하고 다음을 클릭한다. 1세대와 2세대의 차이를 확인하여 보니, 2세대가 좀 더 최신 기술에 대한 지원 (UEFI 펌웨어, 더 큰 부트볼륨(2TB~64TB) 등)이 가능하다고 하는데 실제로 칼리 리눅스 설치를 위해 2세대를 선택하고 실행하여 보면, 부팅이 되지 않았다. 여기서는 1세대를 선택해주고, 다음을 선택한다.

 

5. 메모리 할당 메뉴에서는, 가상 머진이 켜진 후 가상머신에 할당하려는 메모리 용량을 지정한다. 본인 컴퓨터 사양에 따라 적당한 용량을 지정해주면 된다. 동적 메모리 사용 항목도 체크해준다. 해당 항목을 체크하면, Hyper-V 가 가상머신의 요구사항에 따라 램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6. 네트워킹 구성에 대해서는 본인의 가상 컴퓨터 환경에 알맞게 설정하여 준다. 

    여기서는 인터넷 통신 및 네트워크 구성을 위해 인터넷에 연결된 외부 스위치를 별도로 설정하고 여기에 연결하였다.

 

7. 가상 머신에 할당할 공간을 설정해준다. 개인 컴퓨터의 용량을 고려하여, 적당한 용량을 설정하여 준다. 또한 가상 디스크의 이름과 할당할 위치를 지정하여 준다. 할당된 디스크의 공간은 기본적으로 동적으로 생성되며,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디스크 공간은 최대 64TB 까지 확장된다.

 

 

8. '부팅 가능 CD/DVD-ROM에서 운영 체제 설치' 항목을 선택하고, 미리 받아놓은 ISO 이미지 파일을 찾아 선택 후 다음을 클릭한다.

 

9. 선택한 설치 옵션들을 확인 후 마침 버튼을 눌러준다.

 

10. Hyper-V 관리자 창에 새로 생성한 칼리 리눅스 이미지가 표시된다. 새로 생성된 칼리 리눅스 이미지를 선택하고 오른쪽 작업창 하단에 '설정'을 선택한다. 혹은 칼리 리눅스 이미지를 선택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설정'을 선택한다.

 

11. '하드웨어 > 메모리' 탭에서 '동적 메모리 사용' 항목에 체크한다.

'하드웨어 > 프로세서' 탭에서 '가상 프로세서 수'를 2개로 늘린다. 프로세서 수를 늘리는 것은 개인 컴퓨터의 사양에 따라 적절히 조절한다.

 

 

 

12. 설정을 마치면, 칼리 리눅스 이미지를 더블클릭하여 칼리 리눅스를 실행한다. 처음 부팅시 칼리 리눅스 설치화면이 나오는데, 여기서 Graphical install을 선택한다.

 

13. 사용언어를 선택하고 다음을 클릭한다.

 

14. 기본설정을 진행한다.

 

 

 

15. 임의의 호스트명을 입력해준다.

 

16. 임의의 도메인명을 지정하여 준다.

 

17. 루트 사용자 이외의 계정을 생성한다. 칼리 리눅스에서 사용할 계정을 생성한다.

 

다음 화면에서 계정 사용자의 이름을 입력해준다. 일단 해당 글에서는 사용자 계정과 동일하게 설정하여 설치 진행하나 꼭 동일하게 설정하여 줄 필요는 없다.

 

계정에 대한 암호를 설정한다.

 

18. 디스크 파티션 설정에서는 전체 디스크 사용을 선택한다. (기본 설정)

 

파티션을 나눌 디스크 선택 화면에서는 Msft 가상 디스크 옵션을 선택한다.

 

19. 디스크 파티션 구성표에서는 모두 한 파티션에 설치를 선택한다. 우선 추천 옵션인 '모두 한 파티션에 설치'를 선택하고 다음으로 넘어간다. 

 

디스크 파티션 관련 선택 옵션을 확인하고, 계속 진행한다.

 

 

 

20. 설치 소프트웨어 선택화면에서 기본값을 그대로 선택 후 계속 진행한다.

 

설치를 진행한다.

 

21. GRUB 부트로더 설치 메뉴 화면에서 '예'를 선택하고 계속 진행한다.

 

22. (중요) GRUB 설치를 위한 부트로더 장치 설치 화면에서는, /dev/sda 를 선택하고 계속 진행한다. 

 

잠시 기다리면 설치가 완료된다.

 

24. 설치 완료 후, 부팅 화면에서 Kali GNU/Linux 를 선택한다.

 

정상 부팅이 완료되면, 설치시에 설정한 계정으로 접속한다.

 

정상적으로 UI 화면이 접속된다. 그런데 한글이 깨진다...

 

 

이상으로 Hyper-V에 가상 컴퓨터 칼리 리눅스 설치를 해보았다.